내과 병의원 설계하기

내과(외래 진료과) 같은 의료시설 공사 설계는 법적 규정(의료법, 소방법, 건축법 등)과 보건위생, 환자 동선, 장비 배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.

내과 병의원 설계

1. 법규 및 인허가 사항

1-1. 건축법 관련

  • 건축물 용도: 해당 건물이 “의원(의료시설)” 용도로 사용 가능해야 합니다.
    • 일반적으로 근린생활시설 → 의료시설(의원) 변경이 필요합니다.
    • 건축물대장 확인 후 “근린생활시설(의원 가능)”인지 필수 확인.
  • 용적률/건폐율: 건물 구조 변경 시 건축법 적용.
  • 층수 규정: 의원은 지상층 또는 1층·2층에 주로 위치 (고객 접근성).
  • 장애인 편의시설: 연면적 500㎡ 이상 → 장애인 화장실, 경사로, 승강기 설치 의무 (장애인·노인·임산부 편의법).

1-2. 의료법 및 보건소 개설 인허가

  • 의료기관 개설 허가 절차:
    1. 건물 용도 확인 (건축물대장 상 의료시설 가능)
    2. 보건소에 개설 신고 → 시설 기준 충족 검사
  • 필수 시설 기준 (의료법 시행규칙 제34조 관련)
    • 진료실(진찰실) 1개 이상
    • 대기실 1개 이상
    • 환자용 화장실 1개 이상 (500㎡ 이상이면 성별 구분 및 장애인 화장실 필요)
    • 약품/소모품 보관실 또는 공간
    • 의료폐기물 보관함 설치
  • 의료인 자격: 개설자는 의사 면허 필수, 공동개설 불가 (의사 1인 1의원 원칙)

1-3. 소방법 (소방시설법)

  • 의무 소방시설 (의료시설로 분류됨)
    • 자동화재탐지설비 (감지기, 화재경보기)
    • 소화기 (면적 33㎡당 1대 이상)
    • 유도등, 비상조명등
    • 스프링클러 (일반적으로 연면적 600㎡ 이상)
    • 피난유도선, 방화문 (규모에 따라 적용)
  • 소방서 사전 협의 및 준공검사 필수

1-4. 보건위생 및 감염관리 규정

  • 환자/직원 화장실 분리 권장 (내과 특성상 위생 중요)
  • 손소독대, 세면대: 진료실·처치실마다 설치 권장
  • 내시경실/검사실: 오염·비오염 구역 구분 필요 (세척실 별도 확보 권장)
  • 환기: 대기실/검사실 환기설비(기계환기 or 자연환기) 의무

1-5. 전기/의료장비 관련 규정

  • 전기 용량 확보: X-ray, 초음파, 내시경 장비 전용 차단기 필요
  • 비상전원: UPS 설치 권장 (검사 중 정전 대비)
  • 의료가스: 산소·음압 필요 시 배관공사, 관련 안전규정(고압가스안전관리법) 준수

1-6. 폐기물 관리

  • 의료폐기물: 반드시 폐기물 처리업체와 계약 → 전용 용기/보관실 필요
  • 생활폐기물: 일반 폐기물과 분리 배출

1-7. 행정 절차 요약

  1. 건축물대장 확인 – 의원 용도 가능 여부
  2. 건물 임대차 계약 – 의료시설 용도 가능해야 함
  3. 설계도 작성 – 평면 배치, 설비·소방 포함
  4. 보건소 사전 상담 – 필요한 진료과, 최소 면적, 시설 확인
  5. 건축허가/용도변경 – 필요 시 구청 건축과 접수
  6. 소방협의 – 소방 설계 및 설치, 준공검사
  7. 보건소 개설 신고 – 의사 면허증, 건축물대장, 평면도, 장비목록 등 제출
  8. 의료폐기물 계약 – 처리업체와 계약서 제출
  9. 준공 검사 – 보건소/소방서/구청
  10. 개원 신고 후 진료 개시

2. 공간 계획(내과 특화)

2-1. 기본 zoning & 동선

구역 나누기

  • 공용(Public): 출입구, 접수/수납, 대기실, 안내, 환자 화장실
  • 반제한(Semi-Restricted): 진료실, 처치/수액실, 채혈실, 임상병리실, 초음파·심전도·폐기능실, X-ray 대기
  • 제한(Restricted): 내시경실(세척·멸균 포함), X-ray실(조정실), 청결/오염 유틸리티, 의료폐기물 보관
  • 지원(Support/Back of House): 간호사스테이션, 약품·소모품 창고, 서버/약품냉장, 기계·전기실, 직원공간(탈의/휴게)

권장 동선

  • 환자: 출입→접수→대기→진료→(검사/처치)→수납→귀가
  • 직원: 간호스테이션↔진료실·처치실·검사실 최소 동선/직선 가시성
  • 오염/청결 동선 분리: 내시경(세척/건조), 검사물 이동, 폐기물 수거 경로 별도

핵심 치수(권장)

  • 주 동선 복도 폭: 1500mm 이상(휠체어/스트레처 교행 고려)
  • 출입문 유효폭: 900–1000mm(장비 반입·휠체어 통과)
  • 회전 반경: Ø1500mm(휠체어 회전)
  • 시야확보: 간호스테이션에서 대기·처치·응급벨 가시성 확보

2-2. 실별 설계 가이드(권장 면적/설비)

2-2-1. 접수/수납 & 대기

  • 접수/수납(10–16㎡): 직선배치 카운터(높이 900mm, 휠체어 750mm 낮춤 구간), 전면 1500mm 대기공간, 문서/금전 보안, 백오피스(프린터·서버·서류)
  • 대기실(1좌석당 1.4–1.8㎡): 좌석 수 산정식
    좌석 ≈ (피크시 환자도착/시간 × 평균대기분/60) × 1.2(여유)
    • 예: 피크 20명/시간, 대기 20분 → 8석×1.2 ≈ 10석
  • 사소공간: 유모차·휠체어 대기, 자동수납기(선택), 안내표지, 수분대, 공조·환기

2-2-2. 진료실(의사실/진찰실)

  • 면적: 10–12㎡/실(2–3실 권장)
  • 구성: 책상/의자, 환자 의자, 진찰침대(600×1900), 세면대(핸드프리), 수납/의약품 캐비닛, 핸드레스트, 커튼/블라인드
  • 전기/통신: 콘센트 6–8구, 데이터 2포트, 프린터, 모니터 2대 가능
  • 프라이버시: 벽 STC 45+ 방음, 출입구 시선차단
  • 감염관리: 손소독기, 내오염성 마감(비닐바닥·도장), 모서리 콤비/곡면 졸대

2-2-3. 처치/수액실

  • 면적: 12–20㎡(침대 2–4베이, 베이당 6–7㎡)
  • 베이 간격: 중심간 1800–2000mm, 커튼 트랙
  • 가스(선택): 산소/진공(베이당 1–2구), 의료용 아웃렛 레일
  • 감시: 간호스테이션에서 직시, 호출벨/낙상매트
  • 세면/세척: 임상용 싱크, 손 위생 동선 짧게

2-2-4. 채혈실/임상병리

  • 채혈실(6–8㎡): 채혈의자 1–2좌, 창구형 대기와 접점, 냉장고(검체), 소형 원심분리기
  • 임상병리실(8–12㎡): 작업대 깊이 750mm, 세척/세면(온수), 환기, 시약·소모품 보관, 샘플 pass-through(권장)

2-2-5. 영상/기능 검사

  • X-ray실(12–18㎡): 관제실 분리(납유리), 방사선 차폐(전문 설계), 환기/온도안정, 환자 탈의코너
  • 초음파실(8–10㎡): 조도 조절(간접조명), 카트 동선, 콘센트 다구, 젤 워머
  • 심전도/폐기능(6–8㎡): 환기 중요(스파이로미터), 카트/전원

2-2-6. 내시경(선택·내과 확장 시)

  • 내시경실(시술실): 20–25㎡(2인 작업+마취장비+모니터)
  • 전처치/회복: 8–12㎡(베이 1–2), 산소/흡인, 모니터링
  • 세척/멸균실: 오염구역(세척) ↔ 청결구역(건조/보관) 분리, 음압(세척)/양압(청결) 권장, 자동세척기, 건조캐비닛, 패스박스
  • 폐수/배수: 세척제·소독제 대응 배관, 통풍 12ACH+ 권장
  • 대기/설명실: 보호자 대기, 사전동의 서명 공간

2-2-7. 간호사 스테이션

  • 면적: 8–12㎡
  • 기능: EMR/모니터링, 약품카트, 응급키트, 비상벨 인디케이터, 시야 확보(처치/대기 방향)
  • 수납: 일회용품 bulk storage 인접

2-2-8. 청결/오염 유틸리티

  • Clean Utility(6–8㎡): 멸균물품, 드레싱, 소모품 픽
  • Soiled Utility(6–8㎡): 오염린넨, 오염물 보관, 세척싱크, 환기 강화, 바닥 트렌치 금지(청소성 고려)

2-2-9. 약품/냉장·보안

  • 면적: 4–6㎡
  • 보안: 이중잠금(향정/마약), 온도 기록되는 의약품 냉장고, UPS(백신 안정성)

2-2-10. 화장실

  • 환자용: 대기실 인접, 휠체어 회전 Ø1500, 손잡이/비상벨
  • 직원용: 오염동선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

2-2-11. 직원공간/지원

  • 직원 탈의/라커(4–8㎡), 휴게/팬트리(4–6㎡)
  • 서버·저온장: 환기, 24h 전원(UPS), 온습도 모니터
  • 의료폐기물 보관: 환기/잠금/배출동선 짧게(외부 반출로 가깝게)
내과 병의원 설계
내과 병의원 설계

2-3. MEP(설비) 핵심 포인트

급·배수/위생

  • 진료/처치/검사실에 핸즈프리 세면대(레버/무릎/센서)
  • 내시경 세척실: 내열·내약품 배관, 충분한 급탕, 방수 마감

전기/정보

  • 콘센트 가이드(권장)
    • 진료실: 6–8구, 20A 1회로 포함
    • 처치베이: 4–6구/베이 + 산소/진공 패널
    • X-ray/내시경: 전용회로(개별 차단기), 접지, 장비 제원 확인
  • IT: 각 실 데이터 2포트 이상, Wi‑Fi 커버리지 히트맵 설계, NAS/서버 분리 전원
  • 비상전원: UPS(검사 중 정전 대비), 라우터·EMR·냉장고 라인 포함

공조/환기

  • 대기실 환기량 강화, 내시경 세척실 음압, 청결실 양압 권장
  • X-ray·초음파는 장비 권장 온습도 준수(제원서)

음향/프라이버시

  • 진료·상담·시술실 벽 STC 45+, 시술실 STC 50 권장
  • 대기실 백색소음(사운드마스킹) 고려

2-4. 마감/가구 표준

  • 바닥: 비닐시트/논슬립 타일(내오염·습식 청소 용이), 처치·세척구역은 내화학성 자재
  • 벽/천장: 친환경 도장 + 세척 가능 고내구, 모서리 R 처리 권장
  • 걸레받이: coved(라운드) 타입(청소성)
  • 가구: 수전 주변 HPL/세라믹 상판, 샤프스(주사침) 박스 위치 고정, 소화기·AED 가시성

2-5. 규모별 예시 평면 프로그램

A. 소형(약 33평/110㎡)

  • 접수/수납 12㎡, 대기 20㎡(좌석 10–12)
  • 진료실 2실 × 11㎡ = 22㎡
  • 처치/수액실 12㎡(2베이)
  • 채혈 6㎡, 임상병리 8㎡
  • 초음파/심전도 겸용 8㎡
  • X-ray(선택) 0 또는 14–16㎡(+관제 3㎡)
  • Clean 6㎡ / Soiled 6㎡
  • 약품·냉장 5㎡
  • 환자 화장실 5㎡ / 직원 화장실 3㎡
  • 간호스테이션 8㎡
  • 직원라커/휴게 6㎡
  • 의료폐기물 2㎡, 전기/통신 2㎡

X-ray 미설치 시 진료·처치 확장. 내시경은 권장하지 않음.

B. 중형(약 60–70평/200–230㎡)

  • 접수/수납 16㎡, 대기 35㎡(좌석 20±)
  • 진료실 3실 × 11㎡ = 33㎡
  • 처치/수액 20㎡(4베이)
  • 채혈 8㎡, 임상병리 12㎡
  • 초음파 8㎡, 심전도/폐기능 8㎡
  • X-ray 16–18㎡(+관제 3㎡)
  • 내시경 패키지: 시술 22㎡, 전처치/회복 10㎡, 세척/청결 14㎡
  • Clean 8㎡ / Soiled 8㎡
  • 약품·냉장 6㎡
  • 환자 화장실(무장애) 6–8㎡×2, 직원 3㎡
  • 간호스테이션 10–12㎡
  • 직원라커/휴게 8㎡
  • 의료폐기물 3㎡, 전기/통신 3㎡

2-6. 인접(Adjacency) 전략(사용자 시나리오 반영)

(엘리베이터 중앙) 좌측: 진료실 3 + 내시경 존(시술/전처치/세척)
우측: 임상병리·채혈 → 처치/수액 → X-ray(관제실 포함) → 간호사스테이션

  • 접수/수납 ↔ 대기: 전면부, 출입구 직관
  • 대기 ↔ 진료 존: 짧고 명확한 복도, 안내사인 반복
  • 진료 ↔ 검사/처치: 내부 연결문, 환자 역류(왕복) 최소화
  • 간호스테이션 중심 배치: 처치·내시경 전처치·대기 일부 시야 내
  • 오염 유틸리티 ↔ 의료폐기물 보관 ↔ 외부 반출로: 직선 단거리

2-7. 안전·감염·운영 디테일

  • 손위생: 모든 시술/처치/검사실 입구 또는 내부 1m 내 손소독기
  • 접촉/비말 대비: 대기실 환기, 분리 좌석, 환자용 마스크/소독 물품 스테이션
  • 보안: CCTV(대기, 현관, 복도), 비상호출벨(처치·내시경·화장실), 출입통제(약품·서버·X-ray)
  • 린넨/세탁: 청결/오염 흐름 분리, 수거 포인트 명확히
  • 표지/Wayfinding: 이중 표기(문번호+아이콘), 색상 존닝(대기=웜, 임상=뉴트럴 등)
  • 저장율: **총 면적의 10–15%**를 창고/수납으로 확보(부족 시 운영비 증가)

2-8. 실별 전기·배관 체크리스트(요약)

구역전기데이터급/배수가스(선택)특이사항
진료실6–8구(전용1)2포트세면대 1STC45, 시선차단
처치/수액4–6구/베이1포트/베이세면대 1O2/VAC호출벨, 낙상방지
채혈4구1포트세면대 1냉장고, sharps
임상병리6–8구1포트세면+세척환기, 시약장
초음파4–6구1포트조도제어
X-ray전용회로1포트차폐/관제실
내시경 시술8–10구2포트세면O2/VAC마취 모니터
내시경 세척6–8구세척+급탕음압, 배수 주의
Clean/Soiled2–4구세면/세척환기/청결분리
약품/냉장2–4구이중잠금, UPS
내과 병의원 설계

2-9. 마감·가구 디테일(예: 진료실 표준 캐비닛)

  • 상부장: 350mm 깊이, 소모품 구획
  • 하부장: 600mm 깊이, 폐기물 이중 분리(일반/의료), sharps 고정
  • 상판: HPL/컴팩트·세라믹, 벽체 backsplash 150mm
  • 세면수전: 레버/무릎/센서 타입(핸즈프리)

2-10. 도면 작업/발주 체크리스트

  1. 평면도(문·치수·가구) / 천장도(조명·환기) / 바닥도(마감)
  2. 전기/정보(콘센트·전용회로·랙 구성) / 설비(급배수·의료가스) / 소방(감지·유도등)
  3. 방사선 차폐도(X-ray), 내시경 세척 음압/청결 도면
  4. FF&E 리스트(가구/장비 스펙·전원 요구) + 룸북(Room Data Sheet)
  5. 사인 패키지(문패·유도·피난), 안전/벨 시스템 배치
  6. 견적 내역서(공종별) + 공정표 + 인허가 제출 도큐먼트 세트
  • 대기실: 환자 밀집 고려, 채광·환기, 의자 배열, 안내데스크 위치
  • 진료실: 최소 2~3개 이상 확보 (원장/협진 대비), 청진·컴퓨터·의약품·환자 의자 배치
  • 검사실: 내시경실, 임상병리실(혈액·소변 검사), 엑스레이실 등 필요 여부 확인
  • 간호사실/처치실: 수액·간단 처치 공간, 환자 침대·의료기기 배치
  • 약품보관실: 냉장 보관(백신·혈액), 일반 의약품 보관 선반
  • 화장실: 환자용·직원용 분리 권장, 청결 유지 용이한 마감재 사용
  • 기계실/창고: 산소발생기, 냉난방기, 잡자재 보관

3. 동선 및 위생 고려

  • 환자 동선: 접수 → 대기실 → 진료실 → 검사실/처치실 → 수납 → 귀가
  • 의료진 동선: 진료실 ↔ 간호사실 ↔ 검사실 최소 이동
  • 청결구역/오염구역 분리: 내시경, 임상병리 검체 등은 별도 통로 또는 폐기실 확보
  • 감염관리: 손소독기, 환기, 음압(특수검사실 필요시)

4. 설비(기계/전기/배관)

  • 급·배수: 진료실, 임상병리실, 처치실, 화장실, 내시경실 모두 수도 필요
  • 전기: X-ray, 초음파, 내시경, 수액펌프 등 장비용 전력 계산, 비상 전원 고려
  • 통신: 네트워크, 전화, CCTV, 원무 시스템 연결
  • 공조(냉난방/환기): 환기구, 에어컨, 공기청정 필요 (특히 대기실)
  • 의료가스: 산소, 음압 필요시 배관 (수액실, 내시경실, 응급처치실 등)

5. 마감재 및 인테리어

  • 위생 자재: 항균 바닥재, 세라믹 타일, 친환경 페인트
  • 청소 용이성: 모서리 곡선 마감, 내구성 높은 바닥재
  • 조명: 진료실은 밝게, 대기실은 따뜻하고 편안하게
  • 방음: 진료실은 환자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방음 필수

6. 진행 절차

  1. 부지/건물 확인 – 용도 적합 여부 확인
  2. 보건소 상담 – 필요한 진료과목과 최소 면적/시설 체크
  3. 기획 설계 – 평면 배치, 동선 계획
  4. 실시설계 – 건축, 전기, 설비, 소방 도면 작성
  5. 인허가 신청 – 건축허가(필요시), 보건소 개설허가
  6. 시공 – 전문 시공사 선정 후 공사 진행
  7. 준공 검사 – 보건소·소방서·구청 등 최종 확인
  8. 개원 준비 – 장비 반입, 가구 배치, 인력 채용

👉 정리하면:
법규 → 평면계획(진료/검사/대기/처치/간호사실 등) → 동선 및 위생 → 설비 → 마감재 → 인허가 → 시공
이 순서로 진행하면 됩니다.

전문 업체에게 문의하기

내과 병의원 시공하기

내과 병의원 설계 – 끝 –