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arum werden die Seiten der Google Search Console nicht indiziert?

❌ 색인 생성 되지 않은 이유

  1. ‘NOINDEX’ 태그에 의해 제외되었습니다.
    • 해당 페이지 <head> 안에 meta name="robots" content="noindex"> 같은 태그가 들어있어 구글이 색인하지 않습니다.
    • 해결: noindex 태그 제거 후 다시 제출.
  2.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없는 중복 페이지
    • 동일하거나 유사한 콘텐츠가 여러 URL에 존재하는데, rel="canonical" 태그가 없거나 잘못 설정된 경우.
    • 해결: 대표 URL에 canonical 설정 → 중복 페이지는 대표 URL을 가리키도록 수정.
  3. 찾을 수 없음 (404)
    • 해당 URL이 존재하지 않아 구글이 색인 생성 할 수 없습니다.
    • 해결: 실제로 없는 페이지라면 무시해도 되고, 있어야 할 페이지라면 정상적으로 복구.
  4. 크롤링됨 – 현재 색인 생성 되지 않음
    • 구글이 페이지는 방문했지만 아직 색인을 하지 않은 상태. (품질, 중복, 내부링크 부족 등 이유 다양)
    • 해결: 콘텐츠 품질 개선, 내부링크/외부링크 확보, 사이트맵 제출 후 기다리기.

✅ 어떻게 해야 색인 생성이 잘 될까?

  • noindex가 필요한 페이지가 아니라면 제거.
  • canonical 태그로 대표 URL 지정.
  • 404 페이지는 필요 없으면 그대로 두고, 필요한 경우 복구.
  • “크롤링됨-현재 색인되지 않음”은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사이트맵 등록 + 내부링크 강화 추천.

A. NOINDEX 태그에 의해 제외되었습니다. 해결

1️⃣ NOINDEX 태그란?

웹페이지 <head> 영역에 아래와 같은 코드가 들어간 경우를 말합니다:

<meta name="robots" content="noindex, follow">
  • noindex → 검색엔진이 이 페이지를 색인(검색결과에 등록) 하지 말라는 지시
  • follow → 페이지 안의 링크는 따라가도 된다

즉, 페이지 자체는 구글 검색에 나오지 않게 막아놓은 거예요.

2️⃣ 왜 NOINDEX가 들어가 있을까?

  1. 개발/테스트 환경에서 임시로 막아둔 경우
    (ex. staging 사이트, 임시 페이지)
  2. 워드프레스/라라벨 같은 CMS에서 설정으로 막아둔 경우
    • 워드프레스 → 관리자 설정 > 읽기 > 검색 엔진이 이 사이트를 인덱스하지 않도록 요청 체크
    • RankMath, Yoast 같은 SEO 플러그인에서 특정 글/페이지를 noindex로 지정
  3. 의도적으로 검색 노출을 막고 싶을 때
    (로그인 페이지, 내부 전용 페이지, 개인정보 관련 페이지 등)

3️⃣ 해결 방법

👉 색인(노출)이 꼭 필요하다면, 아래처럼 조치합니다:

(1) HTML 직접 수정

<!-- 잘못된 코드 -->
<meta name="robots" content="noindex, follow">

<!-- 수정 후 -->
<meta name="robots" content="index, follow">

(2) 워드프레스라면

  • 전체 사이트 noindex 해제
    • 관리자 → 설정 > 읽기 → Β 검색 엔진이 이 사이트를 인덱스하지 않도록 요청 체크 해제
  • 개별 글/페이지 noindex 해제
    • RankMath, Yoast 같은 SEO 플러그인 들어가서 인덱스 옵션 켜기

(3) Laravel이나 자체 개발 사이트라면

  • resources/views/layout.blade.php 같은 기본 레이아웃에 meta 태그가 들어가 있는지 확인
  • noindex → Β index로 변경하거나 아예 제거

4️⃣ 수정 후 확인 절차

  1. 코드/설정 수정 → 사이트 저장
  2. Google Search Console에서 해당 URL을 다시 검사
    • URL 검사 → “색인 생성 요청” 클릭
  3. 며칠 후 검색엔진에 반영되는지 확인 (site:도메인주소 검색)

B.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이 없는 중복 페이지 해결

1️⃣ 의미

  • 구글이 봤을 때, 콘텐츠가 사실상 똑같은 페이지가 여러 개 존재하는데,
    그 중 어떤 URL을 “대표(표준) 페이지”로 색인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입니다.

예시:

  • https://wi-th.com/page/123
  • https://www.wi-th.com/page/123
  • https://wi-th.com/page/123?utm_source=kakao

→ 내용은 동일하지만 주소가 다름.
→ 구글은 “이 중에 어떤 게 공식 주소인지?” 혼란스러워함.

2️⃣ 왜 발생하나?

  1. 도메인/프로토콜 중복
    • http:// vs https://
    • www. vs non-www
  2. URL 파라미터 문제
    • ?utm_source=..., ?replytocom=..., ?sessionid=... 등이 붙은 페이지
  3. 카테고리/태그/아카이브 페이지 중복
    • 동일한 글이 카테고리 페이지, 태그 페이지, 글 자체에 모두 노출
  4. 페이징/정렬 옵션
    • /shop?page=2, /shop?sort=price 등 같은 콘텐츠인데 URL만 달라지는 경우

3️⃣ 해결 방법

👉 핵심은 대표 페이지(정식 URL) 를 지정해주는 것!

(1) rel="canonical" 태그 사용

대표 URL을 <head>에 명시해줍니다.

<!-- 모든 중복 페이지에서 대표 URL을 지정 -->
<link rel="canonical" href="https://wi-th.com/page/123" />
  • 구글은 canonical이 달린 URL을 “공식”으로 인정 → 그 URL만 색인
  • 나머지는 중복으로 취급하고 색인 제외

(2) 워드프레스에서 해결

  • SEO 플러그인 (Yoast, RankMath) 자동 지원
    • 각 글/페이지에서 canonical URL을 직접 수정 가능
    • 대부분은 자동으로 본문 URL을 canonical로 지정
  • 중복 페이지 차단
    • 태그 아카이브, 날짜 아카이브 등 필요 없는 아카이브 페이지는 noindex Verarbeitung
    • RankMath → SEO 설정 > 아카이브 에서 손쉽게 가능

(3) 서버 설정 (선택)

  • 도메인 중복 처리
    • http → https 301 리다이렉트
    • www → non-www 혹은 반대로 통일

예시 (nginx):

server {
    server_name www.wi-th.com;
    return 301 https://wi-th.com$request_uri;
}

4️⃣ 확인 방법

  1. 수정 후 Search Console → URL 검사 → 색인 생성 요청
  2. site:wi-th.com 글제목 검색 → 중복 URL 대신 canonical URL만 나오면 정상

C. 찾을 수 없음 (404) 해결

1️⃣ 의미

  • 구글이 사이트맵이나 내부링크, 또는 외부링크를 통해 URL을 발견했는데, 해당 주소를 요청했을 때 404(Not Found) 응답을 받았다는 뜻입니다.
  • 즉,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서버가 알려준 거예요.

2️⃣ 왜 생기나?

  1. 삭제된 글/페이지
    • 예전에 발행한 글을 지웠거나, URL이 바뀐 경우
  2. URL 오타/잘못된 링크
    • 내부 링크나 외부 사이트에서 주소를 잘못 연결한 경우
  3. 워드프레스 슬러그 변경
    • 예: 글 주소 /hello-world → Β /welcome으로 바꾸면, 기존 주소는 404
  4. 카테고리/태그 구조 변경
    • /category/abc/post-name → Β /abc/post-name 으로 변경 시 기존 주소는 사라짐
  5. 잘못된 사이트맵
    • sitemap.xml에 아직 존재하지 않는(삭제된) URL이 포함된 경우

3️⃣ 해결 방법

👉 어떤 경우냐에 따라 다르게 대응해야 해요.

(1) 해당 페이지가 실제로 필요하다면

  • 글/페이지를 복원
  • 혹은 새 글을 만들어서 기존 주소에 맞춰줌 (슬러그 원래대로 되돌리기)

(2) URL이 바뀐 경우

  • 301 리다이렉트 설정
    • 구글에게 “이전 주소는 없어졌고, 새 주소는 여기야”라고 알려줌

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예:

  • Redirection 플러그인 → /old-url → Β /new-url 매핑

nginx 예:

location /old-url {
    return 301 https://in-te-ri-or.com/new-url;
}

(3) 정말 필요 없는 페이지라면

  • 404 그대로 두어도 괜찮음 → 구글이 시간이 지나면 색인에서 제거
  • 단, 사이트맵에서는 반드시 제거해야 함

4️⃣ Search Console에서 처리 흐름

  • 404 페이지는 Search Console에서 “색인이 생성 되지 않음”으로 보고됨
  • 하지만 모든 404가 문제는 아님 ✅
    • 블로그 운영 시, 오래된 글 지우면 당연히 404 발생 → 정상
    • 구글도 “삭제된 페이지”라고 이해하고 점차 제거

5️⃣ 체크포인트

  • 필요 없는 페이지 → 404 유지 (자연스러운 현상)
  • 필요한 페이지 → 301 리다이렉트 or 복원
  • 사이트맵 → 항상 최신 상태 유지해야 함 (404 URL 없어야 함)

D. 크롤링됨 – 현재 색인이 생성 되지 않음 해결

1️⃣ 의미

  • 구글봇이 페이지를 방문(크롤링)까지는 했지만, 색인(검색결과 등록) 은 하지 않은 상태라는 뜻입니다.
  • 즉, “페이지는 봤는데, 아직 검색결과에 넣을 만큼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했어” 라는 구글의 메시지예요.

2️⃣ 왜 이런 상태가 되나?

구글은 크롤링된 모든 페이지를 무조건 색인하지 않습니다. 여러 이유가 있어요:

  1. 콘텐츠 품질 부족
    • 내용이 너무 짧거나 중복되는 경우 (“Thin Content”)
  2. 중복 콘텐츠로 판단
    • 다른 페이지와 내용이 거의 동일
  3. 내부 링크 부족
    • 사이트 내 다른 글/메뉴에서 연결이 안 돼서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
  4. 외부 신뢰도 부족
    • 외부 사이트에서 링크가 거의 없는 경우
  5. 사이트 새로 생성됨
    • 아직 신뢰도가 낮아 구글이 일부만 색인하는 경우
  6. 기술적 이슈
    • canonical, robots 설정이 꼬인 경우
    •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응답 불안정 → 구글이 임시 보류

3️⃣ 해결 방법

👉 “구글이 이 페이지를 색인할 가치가 있다”라고 설득해야 합니다.

(1) 콘텐츠 품질 강화

  • 최소 300~500 단어 이상의 본문 작성
  • 고유성(다른 글과 차별성) 확보
  • 이미지, 표, 동영상 등을 추가하여 풍부하게

(2) 내부 링크 강화

  • 이미 색인된 다른 글에서 이 글로 링크 걸기
  • 메뉴/카테고리/태그를 통해 접근 가능하게 만들기

(3) 사이트맵 & Search Console 활용

  • sitemap.xml에 해당 URL 포함 → Search Console에 제출
  • Search Console > URL 검사 → 색인 생성 요청

(4) 외부 신뢰도 확보

  • SNS, 블로그, 외부 사이트에서 링크 유도
  • 특히 새로운 사이트일 경우 외부 링크가 중요

(5) 기술 점검

  • canonical 태그가 올바른지 확인
    (잘못해서 자기 자신 아닌 다른 페이지를 가리키면 색인 제외됨)
  • robots.txt, meta robots 태그에 색인 차단 요소가 없는지 확인
  • 사이트 속도 개선 (Lighthouse, PageSpeed Insights로 측정)

4️⃣ 처리 후 반영 시간

  • 색인 생성 요청을 해도 즉시 반영되는 건 아니고, 보통 며칠~수주 걸릴 수 있습니다.
  • 특히 신규 사이트는 구글이 신뢰도를 높게 보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음.

📌 구글 색인 생성 반영 흐름

  1. 처음 상태 (noindex ON)
    • 구글이 크롤링을 시도해도 <meta name="robots" content="noindex"> 때문에 색인 자체를 하지 않음.
    • 그래서 “검색 노출 불가” 상태로 기록됨.
  2. 나중에 체크 해제 (noindex OFF → index)
    • 이후부터는 구글이 크롤링할 때 색인 생성 가능하다고 판단.
    • 하지만 이미 “noindex”로 인식된 기록이 남아 있어서, 구글이 재방문해서 업데이트해야 색인이 바뀜.
  3. 색인 반영까지 걸리는 시간
    • 보통 며칠 ~ 몇 주까지 걸릴 수 있음.
    • 이유: 구글이 모든 페이지를 매일 보는 게 아니라, 사이트 중요도(도메인 권위, 외부 링크, sitemap 제출 여부)에 따라 재방문 주기가 달라지기 때문.

⏱️ 시간을 줄이는 방법

구글이 빨리 다시 크롤링하고 색인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:

  1. Search Console에서 URL 검사 → 색인 생성 요청
    • 직접 제출하면 보통 1~3일 내에 재크롤링 되는 경우 많음.
  2. 사이트맵 등록
    • /sitemap.xml 제출 → 크롤러가 정기적으로 새 글을 확인.
  3. 내부 링크 추가
    • 이미 색인된 다른 글에서 새 글로 링크를 걸면, 구글이 “중요한 페이지”라고 인식해 더 빨리 방문.
  4. 외부 유입
    • SNS, 외부 사이트 링크 → 구글봇 유입 트리거 역할.
Microservices ⓒ wi-th.com
Alles für die Inneneinrichtung Hinten-hinten.de
ⓒ dknock.in-te-ri-or.com
Innenarchitekt ⓒ dknock

Β Unkraut

Inhaltsübersich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