언어마다 처리할 수 있는 동접수를 분석해 보자.
8코어 16쓰레드 코클럭 CPU로 구동시 동접수
언어/프레임워크 | 처리 모델 | 초당 요청 처리량(RPS) | 지속 동접 가능 수 | Caractéristiques |
---|---|---|---|---|
C / C++ (nginx, custom) | 이벤트 루프, epoll | 150~200만 RPS | 20~40만 동접 | 네이티브 성능 최고, 시스템 콜에 가까움 |
Go (Gin/Fiber, gRPC) | 경량 스레드(goroutine), 비동기 | 50~100만 RPS | 10~20만 동접 | 메모리 효율적, 동시성 최강, 마이크로서비스에 적합 |
Rust (Actix, Tokio) | async/await, zero-cost | 80~150만 RPS | 15~25만 동접 | 안전성과 성능을 동시에 잡음, 러닝커브 있음 |
Java (Spring Boot + Netty) | 스레드풀, NIO 비동기 | 30~60만 RPS | 5~10만 동접 | GC 튜닝 필요, 대규모 서비스에 많이 사용 |
Node.js (Express/Fastify) | 싱글스레드 이벤트 루프 | 15~40만 RPS | 3~7만 동접 | I/O 강점, CPU 연산 많은 작업에는 약함 |
PHP (Laravel + PHP-FPM) | 프로세스 기반, 동시성 낮음 | 5~10만 RPS | 1~3만 동접 | 캐싱·로드밸런싱 필수, DB I/O에 병목 생김 |
Python (Django/Flask, Gunicorn+Uvicorn) | WSGI/ASGI, 멀티스레드 | 3~8만 RPS | 5천~2만 동접 | 데이터 처리·ML용 강점, 웹서버는 비효율적 |
피하거나 신중히 쓸 언어/런타임 (단일 서버 동접수에 불리)
- PHP (Laravel/WordPress + PHP-FPM)
- 왜 약한가: 요청당 프로세스/워커 고정(풀 크기=동접 상한), 다건 I/O에 기본적으로 블로킹, 매요청 부트스트랩 오버헤드.
- 보완: Octane/RoadRunner/Swoole(롱러닝), 페이지·API 캐시(Cloudflare/Redis), 큐 비동기화, 프리렌더, 읽기 전용 API는 Edge 캐시.
- Python (Django/Flask WSGI 계열)
- 왜 약한가: WSGI는 기본 동기/블로킹, GIL로 CPU 바운드 동시성 제한, 높은 per-req 오브젝트/GC 오버헤드.
- 보완: ASGI(Starlette/FastAPI) + Uvicorn/Hypercorn, I/O 전부 async, CPU 작업은 Celery/Go/Rust 마이크로서비스로 분리.
- Ruby (Rails)
- 왜 약한가: MRI는 실질적 GIL, 멀티스레드 이득 제한 → 멀티프로세스 확장이 기본(메모리↑), ORM·메타프로그래밍 오버헤드 큼.
- 보완: Puma 워커 최소화+스레드풀 튜닝, 캐시 전면화, 핫패스는 Go/Rust로 분리.
- Node.js (Express 등) — CPU 바운드일 때
- 왜 약한가: 싱글 이벤트루프라 CPU 무거운 작업/큰 JSON 직렬화/동기 코드가 루프를 막아 동접 급락.
- 보완: Fastify, 전면 비동기, worker_threads/Cluster로 CPU 작업 분리, JSON 스트리밍, CPU 태스크는 Go/Rust로 오프로드.
- 전통적 블로킹 Java/C# 스타일(스레드-퍼-리퀘스트)
- 왜 약한가: 연결수↑ = 스레드수↑ = 컨텍스트스위칭/메모리↑. GC/스레드풀 한계가 곧 동접 상한.
- 보완: Java는 Netty/Undertow, Spring WebFlux(NIO)나 가상 스레드(프로젝트 Loom), C#은 async/await + Kestrel 적극 사용, GC(ZGC/G1) 튜닝.
동접수를 “잡아먹는” 공통 패턴 (언어 불문, 반드시 피하기)
- 블로킹 I/O(DB/외부 API) + 낮은 커넥션 풀 → 워커가 대기만 함
- N+1 쿼리/무거운 ORM(지연로딩 남발)
- 큰 JSON 직렬화/역직렬화(한 번에 메모리 적재)
- 동기 로그/파일 I/O(매 요청 디스크 flush)
- 세션을 DB에 동기 저장(락 경합)
- 정규식 폭발/템플릿 중복 렌더링
- TLS 핸드셰이크 매요청(Keep-Alive/HTTP/2 미사용)
- 캐시 미사용(CDN/Redis 없이 원서버만 때림)
어쩔 수 없이 써야 할 때의 “생존 세트”
- 엣지 캐시 1순위: Cloudflare 캐시, Stale-While-Revalidate, API 결과 캐시(슬라이딩 TTL)
- 읽기/쓰기 분리: 읽기는 캐시/리드레플리카, 쓰기는 큐로 비동기화
- 핫패스 분리: 업로드/이미지 리사이즈/추천/검색 등은 Go/Rust 마이크로서비스로 떼기
- 서버 지속 프로세스화: PHP는 Octane/RoadRunner, Python은 ASGI로
- 스키마/쿼리 다이어트: N+1 제거, 인덱스/커버링, 조인 최소화, 컬럼 선택 최소화
- 스트리밍: JSON/파일은 스트림, 압축/청크, HTTP/2
- 관측성: p99 지연/큐 대기/풀 사용률 모니터링 → 병목 즉시 캐시/분리
권장 조합 (8코어 16스레드, 동접수 최적화)
- API/실시간: Go (Gin/Fiber) 또는 Rust (Actix/Tokio)
- 웹서빙/정적: nginx/Caddy + Cloudflare
- 고동접 WebSocket/채팅: Elixir(Phoenix)/Go
- 백오피스/콘텐츠: PHP(Laravel/Filament) 가능하되 캐시·큐 전제
- Java 선택 시: Netty/WebFlux 또는 Loom(가상 스레드) 기반 + ZGC 튜닝
최우선 추천 (핵심 API/대부분의 마이크로서비스)
Go (Gin/Fiber, gRPC, net/http2)
- 왜: 경량 스레드(goroutine)+비동기 I/O → 같은 하드웨어에서 동접 효율이 최고 수준, 메모리 풋프린트 작음, 배포 단순.
- 규모 감(8코어/16스레드, 튜닝+캐시 가정): 지속 동접수 10~20만 / 수십만 RPS 가능.
- 어디에: 읽기 많은 API, BFF, 이미지 업로드 핸들러, 결제콜백, 추천/검색 게이트웨이 등 “핫패스” 전반.
초고성능·지연 민감 구간
Rust (Actix/Tokio)
- 왜: zero-cost abstraction, async/await, 메모리 안전 + 네이티브급 성능.
- 규모 감: 지속 동접수 15~25만, p95 지연 최소화에 강함.
- 어디에: 추천/랭킹, 대용량 JSON/Protobuf 변환, 이미지 가공, 실시간 피드 집계 등 CPU·메모리 민감 구간.
실시간/채팅/대량 WebSocket
Elixir (Phoenix, BEAM)
- 왜: 프로세스 수백만 단위 경량 동시성, 장애 복원력 탁월.
- 규모 감: WS 채널 10~20만 동시 세션/서버 실전 레퍼런스 다수.
- 어디에: 채팅, 알림 허브, 실시간 경기/경매 방송, Presence.
팀에 Java 역량이 강할 때 대안
Java (Netty/Undertow, Spring WebFlux 또는 Loom)
- 왜: 성숙한 생태계+NIO(또는 가상 스레드) 사용 시 동접 확장 우수.
- 규모 감: 지속 동접수 5~10만(서비스 성격 따라 상회 가능).
- 어디에: 복잡 도메인, 대형 조직 표준화 환경.
보조/주변 용도(“핫패스”엔 비추)
- Node.js: 비동기 어댑터·BFF·SSR(Next.js) 한정. CPU 무거운 작업은 워커/별도 서비스로 분리.
- PHP(Laravel): 관리자/백오피스/CMS 전용. 운영 시 Octane/RoadRunner + Redis 캐시 전제.
- Python: 요청 경로 제외. 배치/ML 파이프라인/데이터 작업자로만.
권장 아키텍처 한 장 요약
- 엣지/캐시: Cloudflare(캐시 규칙, Stale-While-Revalidate)
- 게이트웨이: Nginx/Envoy + HTTP/2(gRPC/REST 혼용)
- 핵심 API: Go 우선, 초고성능 구간은 Rust
- 실시간: Elixir(Phoenix Channels)
- 백오피스/콘텐츠: Laravel(+Octane) 또는 Headless CMS
- 데이터: Postgres(+읽기 레플리카), Redis, Meilisearch/Elastic, ClickHouse(로그/집계)
- 메시지/큐: NATS/Kafka, 작업 큐는 Go/Rust 워커
- 미디어: 이미지 변환 마이크로서비스(Go/Rust) + S3/R2
- 관측성: p95/p99, 커넥션 풀, GC(해당 언어) 대시보드 상시 모니터링
선택 기준(실무 체크리스트)
- 핫패스는 Go/Rust로 시작(최초 설계 단계에서 결정)
- 실시간 요구가 크면 Elixir를 별도 도메인으로 분리
- 관리/운영 생산성이 우선인 백오피스는 Laravel(+Octane)
- Node는 웹 렌더링/BFF/게이트웨이용으로 최소화
- 대규모 팀 표준/레거시 연동이 필요하면 Java WebFlux/Loom 고려
(8C16T 서버 한 대 기준 동접수 목표치)
- Go API: 지속 동접수 10~20만(읽기 위주), p95 < 50ms
- Rust 핫패스(추천/집계): p95 < 20ms, CPU 사용률 안정
- Elixir 실시간: WS 세션 10만+ 안정 유지
- Laravel Admin: Octane + Redis 캐시 전제, 외부 API/DB는 비동기 큐로 분리
구분 | 언어/프레임워크 | 지속 동접수 처리력 | 장점 | 적합한 용도 |
---|---|---|---|---|
최우선 | Go (Gin/Fiber, gRPC) | 10~20만 | 경량 스레드, I/O 효율 최고, 배포 간단 | 핵심 API, BFF, 업로드, 결제콜백 |
초고성능 | Rust (Actix/Tokio) | 15~25만 | 네이티브급 성능, 안전성 | 추천/랭킹, 이미지/데이터 처리 |
실시간 | Elixir (Phoenix) | 10~20만 WS 세션 | 초대량 동시성, 복원력 | 채팅, 알림, 실시간 방송 |
대기업 친화 | Java (WebFlux, Loom) | 5~10만 | 성숙 생태계, NIO/가상 스레드 | 복잡 도메인, 대규모 시스템 |
보조용 | Node.js | 3~7만 | 빠른 개발, 비동기 I/O | SSR, BFF, 경량 API |
보조용 | PHP (Laravel+Octane) | 1~3만 | 생산성, 생태계 풍부 | 백오피스, CMS, 관리자 |
보조용 | Python (ASGI) | 0.5~2만 | 데이터/ML 강점 | 배치, 데이터 파이프라인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