8C/16T 1대로 시작해 마이크로서비스를 단계별로 쪼개 가는 용량·구조 로드맵을 표로 정리했어요. (가정: Go/Rust 중심, Elixir 실시간, Laravel=Admin 한정, Nginx/Envoy, Redis, Postgres, MeiliSearch, S3/R2, Cloudflare 캐시 적극 활용)
전제(현실적 가정치)
- 트래픽 믹스: 읽기 80% / 쓰기 20%, API 평균 응답 2–8KB
- Cloudflare 캐시 적중: 정적 85%+, API GET 20–40%
- 목표 지연: p95 < 80ms (API), < 150ms(검색)
- 수치는 **보수적 추정치(±30%)**이며, p95 기준 안정 운용 한계선입니다.
단계별 마이크로서비스 구조/용량 표 (8코어 16쓰레드)
단계 | 물리 서버 수 | 배치(권장 서비스) | 예상 지속 동접(로그인 기준) | 안정 RPS(전체 합) | 핵심 병목 & 트리거 |
---|---|---|---|---|---|
A. 올인원 | 1대 | Nginx/Envoy, Ir para a API, Laravel(Admin), Redis, Postgres, Meili, Elixir(WS), 이미지 워커 | 2만~4만 | 6k~12k | DB/디스크, 메모리 압력. p95↑, CPU>70%, DB TPS>2k면 다음 단계 |
B. 2대 분리 | 2대 | S1: Nginx + Go API + Elixir + Redis / S2: Postgres + Meili + 미디어 | 6만~10만 | 12k~20k | DB IOPS·락, 검색 QPS. DB CPU>60%, QPS>1.5k면 3대로 |
C. 3대 분리 | 3대 | S1: Nginx+Go API / S2: Postgres(전용) / S3: Elixir(WS)+Meili+미디어 | 12만~18만 | 20k~35k | WS 세션↑, 검색 피크. Meili p95>150ms, WS>8만이면 4~5대로 |
D. 4–5대 최적 | 4–5대 | +S4: 검색 전용(Meili), +S5: 미디어/큐/크론 (선택) | 20만~30만 | 35k~55k | API CPU, 캐시 미스, DB 읽기 부하. 읽기 스파이크↑면 리드레플리카 |
E. 7–9대 확장 | 7–9대 | API 2–3대 수평, DB: 주1 + 리드레플리카1–2, 검색 1–2, WS 1–2, 미디어/배치 1 | 35만~55만 | 60k~90k | 네트워크/LB, 캐시전략. DB 복제 지연, 서치 샤딩 필요 시점 |
참고 한계치(8코어 16쓰레드 1대, 최적화/캐시 가정):
• Ir para a API: 6k–12k RPS 안정 / 지속 동접 2만+ (읽기 위주)
• Elixir WS: 6만–10만 세션
• Postgres: 단순쿼리 2–4k QPS, 쓰기 TPS 1–2k 내 안정
• Redis: 5만+ ops/s (네트워크/핫키 주의)
• MeiliSearch: 600–1,500 QPS(쿼리 복잡도/필터에 따라 편차)
단계 전환 체크리스트(운영 트리거)
- API p95 > 80ms 15분 이상 ou CPU > 65% 지속
- DB: 평균 대기시간 > 20ms, 활성 커넥션 풀 80%↑, 체크포인트 지연
- 캐시: 핫키 편중, 캐시 미스율 > 30%
- WS: 단일 노드 세션 > 8만 또는 브로드캐스트 지연 ↑
- 검색: p95 > 150ms, 인덱싱 지연 누적
마이크로서비스 배치 권장(요약)
- APIs principais: Go(최우선), 초고성능 핫패스는 Rust로 분리
- 실시간/채팅: Elixir(Phoenix) 단독 노드
- 관리자/콘텐츠: Laravel(+Octane) 별도 컨테이너, 큐/캐시 필수
- Dados: Postgres(주) → 단계 D/E에서 리드 레플리카 추가
- 검색: Meili 전용 노드(단계 C~), QPS↑ 시 샤딩/리플리카
- 큐/배치/미디어: 워커 전용 노드(단계 D~)
- 엣지: Cloudflare 캐시 규칙·SWR·API 캐시(슬라이딩 TTL)
빠른 의사결정 가이드
- 초기 런칭/POC → Β A(1대)
- MAU↑·정식 오픈 → Β B(2대)(DB 분리만으로 안정성 급상승)
- 실시간/검색 본격화 → Β C(3대)
- 전국민 캠페인/피크 대비 → Β D(4–5대)
- 항시 대규모 동접·여러 피크 동시 → Β E(7–9대)
✅ 1. 각 서비스별 리소스/성능 요구 예측
www | 프론트엔드 SSR, Nuxt 등 | 중~상 (CPU/RAM/SSD) | SEO 대응 |
api | 중~상 (CPU/IO/RAM) | REST or GraphQL | |
shop | 쇼핑몰 기능 | 중~상 (RAM/DB IO) | 제품, 장바구니, 결제 |
db | MariaDB / MySQL | 상 (RAM/SSD) | SSD 중요 |
redis | 캐시 / 세션 / 큐 드라이버 | 중~상 (RAM) | 빠른 메모리 응답 필요 |
cdn | 정적 리소스 서버 | 상 (디스크IO/네트워크) | Cloudflare CDN 활용시 경감 가능 |
community | 커뮤니티, 게시판 | 중 (DB/검색) | 댓글, 공감, 알림 |
chat | 실시간 채팅 (Socket.io 등) | 상 (CPU/메모리/네트워크) | 웹소켓 필수 |
recommend | 추천 알고리즘 | 중~상 (RAM/CPU) | Meilisearch or ML |
bookmark | 즐겨찾기 기능 | 하 (DB) | 단순 상태 |
search | MeiliSearch 기반 검색 서비스 | 상 (RAM/SSD) | 전체 텍스트 색인 |
external | 외부 API 연동 (주소, 부동산 등) | 하~중 (네트워크) | 비동기 큐와 분리 권장 |
auth | OAuth2/JWT/SSO 인증 | 중 (CPU/RAM) | 요청 수 많음 |
admin | Filament 등 관리자 패널 | 중 (CPU/DB) | 내부용 |
admin-api | 관리자 전용 API | 중 (RAM/CPU) | 내부 API |
user | 회원관리, 마이페이지 | 중 (DB/CPU) | 프로필/설정 |
payment | 결제 연동 (KG이니시스 등) | 중 (네트워크/보안) | 보안 고려 |
queue | 비동기 작업 큐 (Laravel Queue, Horizon 등) | 상 (CPU/IO) | 이미지 처리, 이메일 등 |
notification | 알림 발송 (푸시/이메일/SMS 등) | 상 (네트워크/CPU) | 외부 API 연동 |
report | 신고/통계 수집 | 하 (DB) | 보조 기능 |
stats | 유저 행동 통계 수집/분석 | 중~상 (RAM/저장) | 장기 저장 필요 |
db | MariaDB / MySQL | 매우 상 (IO/RAM) | 반드시 별도 서버 |
gateway | API Gateway (e.g., Kong, Traefik, Nginx) | 라우팅, 인증, 로깅 일원화 | |
file | 파일 서버 (e.g., MinIO / R2 Proxy) | 이미지 업로드 관리 |
✅ 2. 마이크로서비스로서 추가 추천 서비스
추가 서비스 | 역할 / 설명 | 이유 |
---|---|---|
backup | DB/파일 주기적 백업 서비스 | 장애 대응 |
logger | 중앙 로깅 (e.g., Loki, FluentBit, Logstash) | 서비스별 로그 수집 |
monitor | 시스템 모니터링 (e.g., Prometheus, Grafana) | 헬스체크, 알림 |
mailer | 메일 발송 전용 서비스 (SMTP 연동 포함) | 대량 메일 |
cron | 스케쥴러 전용 서비스 (Laravel Schedule 등) | 시간 기반 이벤트 분리 |
sso | OAuth 연동 또는 SSO 서비스 | 통합 로그인 대응 |
✅ 3. 2대의 서버 마이크로서비스 자원 분배 / 배치 제안
🖥️ 서버1 (8코어 16스레드, 고클럭)
프론트 처리 / API / 실시간 서비스 중심 (고속 응답 중요)
www
(Nuxt SSR)api
(Laravel API)shop
auction
contest
auth
admin-api
chat
(Socket.io)queue
notification
recommend
gateway
(Nginx or Traefik)cron
/mailer
external
(API연동)
Caraterísticas: 응답 속도와 실시간 처리 중요 서비스 집중, 고속 NVMe SSD와 DDR5의 이점을 활용
🖥️ 서버2 (8코어 16스레드, 고클럭)
저장소/분석 중심, IO/대용량 처리 최적화
db
(MariaDB/MySQL)redis
meilisearch
cdn
(정적 리소스 캐시용)stats
report
user
admin
(Filament)community
bookmark
search
file
(업로드, CDN 저장소)logger
,monitor
,backup
Caraterísticas: 코어 수가 많아 동시에 많은 요청 처리에 유리, 분석/저장/캐시 중심
✅ 4. 배치 요약 (표)
서비스 종류 | 설치 서버 |
---|---|
실시간/응답 중심 서비스 | 서버1 |
저장/분석/검색 중심 서비스 | 서버2 |